[출근길 인터뷰] "비행 청소년 아니에요"…지원 사각지대 놓인 가정 밖 청소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가정의 울타리를 나와 거리를 배회하는 청소년들이 있습니다.<br /><br />과연 비행 청소년이기 때문에 그런 걸까요?<br /><br />속사정을 알고 보면, 그냥 싫어서, 부모에게 반항하기 위해 집을 나온 청소년들은 거의 없다고 합니다.<br /><br />출근길 인터뷰에서 가정 밖으로 나온 청소년들의 속마음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뉴스캐스터 연결합니다.<br /><br />박서휘 캐스터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수요일 출근길 인터뷰에서는 김희재 서울시립청소년 자립지원 관장을 만나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김희재 / 서울시립청소년자립지원관장]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먼저 서울시립청소년자립지원관이 어떤 곳인가요?<br /><br />[김희재 / 서울시립청소년자립지원관장]<br /><br />저희 서울시립청소년 자립지원관은 서울시로부터 사단법인 인터넷 꿈 희망터가 위탁 운영하는 청소년 복지시설입니다.<br /><br />청소년 쉼터나 회복 지원 시설을 퇴소한 가정 밖 청소년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시설입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청소년들이 가출을 결심하게 되는 이유가 있을까요?<br /><br />[김희재 / 서울시립청소년자립지원관장]<br /><br />저희 자립지원관을 이용했던 청소년들이 어떻게 가정 밖 상황에 놓이게 됐는가를 조사해 봤었는데요.<br /><br />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난 것이 부모, 보호자 등의 학대나 폭력으로 인한 피해가 가장 높게 62% 정도로 나타났고요.<br /><br />이중 8% 정도는 성추행이나 성폭력도 있었던 것으로 조사가 됐었습니다.<br /><br />또 최근에 가장 힘든 경우가 정신과적 진료를 얻고 있거나 혹은 경계선 혹은 그 이하의 지능을 가진 청소년들도 높은 비중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이렇게 아동과 청소년 학대 건수가 늘고 있다고요.<br /><br />[김희재 / 서울시립청소년자립지원관장]<br /><br />보건복지부의 아동학대 연차보고서에 따르면 아동학대로 신고 접수되는 경우와 또 판정받는 경우가 매년 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또한 이러한 학대 행위의 가해자가 80%가 넘는 비중으로 부모님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는 가정 내에서 아직도 훈육이라는 이유로 청소년들에게 폭언이나 폭행, 폭력 등을 행사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지 않나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어쩔 수 없이 가출을 선택하게 된 청소년들에 대한 지원이 이렇게 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건가요.<br /><br />[김희재 / 서울시립청소년자립지원관장]<br /><br />가정 밖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자립을 하기 위해서는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그중에서도 특히 필요한 것이 주거와 심리, 정서적인 안정 그리고 경제적인 지원입니다.<br /><br />주거지원의 경우에는 지금 서울시는 서울시 청소년정책과와 도시 주택공사가 협업을 통해서 공동생활가정 중에 일부를 생활관으로 이용할 수 있게끔 하고 있고요.<br /><br />이곳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월세를 내는 대신 매년 본인의 수익금의 일부를 본인 명의의 통장으로 적금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래서 퇴소 시에는 이것을 자립 정착금으로 사용할 수 있게끔 운영을 하고 있고요.<br /><br />이제 외부에서 독립 가구 형태로 자립을 준비하는 청소년들의 경우에는 사례심의위원회의 심의를 통해서 월세나 보증금의 일부를 지원을 받거나 뭐 생계비 또 생필품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최근 현장에서 이제 가장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경우가 아동복지시설을 퇴소한 보호종료 아동.<br /><br />즉 자립준비 청년과의 지원 격차를 해소하는 부분인데요. 수만 명으로 추정이 되고 있는 가정 밖 청소년들을 현재 지원하고 있는 기관이 전국에 한 11개 시설. 자립 지원 요원이 한 40여 명인데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고요.<br /><br />또 자립을 준비하고 실행해 나가는 청소년들에게 꼭 필요한 경제적 지원인 자산 형성이나 자립 정착금의 경우가 아직은 부재한 상황이어서 관련 부처인 여성가족부에서도 관련법이 개정될 수 있도록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캐스터]<br /><br />오늘 좋은 말씀 고맙습니다. 지금까지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(박서휘 캐스터)<br /><br />#청소년 #서울시립청소년자립지원관 #청소년자립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